서방 국가들이 본격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견제에 들어갔다.
로이터 통신은 주요 7개국, G7 재무 장관들이 G7 재무 장관 회의를 어제(9월2일) 개최했는데 그 자리에서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 것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G7 재무장관들은 어제 회의에서 가격 상한제 시행에 대해 논의하고 가격 상한제를 시행한다는 합의를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들 G7 재무 장관들이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추가 가격 상한선에 대해 기술적인 투입 범위를 기반으로 한다는 원칙을 정했다고 전했다.
따라서 러시아산 석유 가격 상한제에 의한 구체적인 가격은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 검토를 거쳐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번 G7 재무 장관 회의 공동성명에서 G7 재무 장관들은 유럽연합(EU)의 6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 내 타임라인에 따라 러시아산 석유 가격 상한제를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언급했다.
G7 재무 장관들의 가격 상한제 시행 합의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을 통제하겠다는 구상이다.
즉 상한선을 지켜서 구매하는 경우에만 원유 수송에 필요한 보험을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등을 통해 러시아가 원유 수출을 통해서 얻는 수익을 제한하고,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대응하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G7 재무장관들이 이처럼 강력한 가격 상한제를 추진하는 것에 러시아는 당연히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상황이 흥미롭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러시아 이익을 제한하는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움직임에 대해 세계 석유 시장에 매우 심각한 불안정을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가격 상한제를 적용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석유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경고했다.
이같은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 발언은 이번 G7 재무장관 회의가 열리기 전에 나온 것이어서 상한선 제한을 사실상 확정지은 이번 회의에 대해 러시아 측은 대단히 격앙된 반응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