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이젠 북한 무기까지 싹쓸이’…막다른 골목 몰린 러


서방의 제재를 받아온 러시아가 드디어 북한산 무기까지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재래식 무기를 대거 소진하면서 우크라이나군의 화력에 밀리자 ‘구닥다리’ 북한산 포탄과 로켓포까지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가 군사무기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조악한 기술과 신뢰할 수 없는 생산시설로 악명 높은 북한산 무기까지 구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 정보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크렘린이 무기 수급에 봉착하자 이란산 드론 대량 수입에 이어 북한산 로켓포와 포탄 수백만발을 구매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미국 정보당국은 러시아가 수입한 북한산 무기의 정확한 스펙과 양 등을 우크라이나 정부에 파악되는 즉시 알려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이미 구매계약을 체결한 북한산 재래식 포탄 및 로켓포에 이어 다른 무기들도 수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쟁연구소 메이슨 클라크 연구원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판다고만 하면 러시아는 현재 북한군이 보유한 무기 전량을 다 사들일 수도 있을 정도”라면서 “그만큼 우크라이나 전쟁을 수행하는 러시아군 전체의 재래식 무기 화력이 서방산 첨단무기로 무장한 우크라이나군보다 훨씬 쇠약해졌다는 의미”라고 언급했다.

북한산 무기는 사회주의권 붕괴 이전 구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무기들의 복제판과 다름이 없다. 독자적인 기술이 전무한 상태에서 구소련 및 러시아산 무기들의 설계도를 받아 한반도 지형에 맞게 약간 변형해 생산한 것들이다.

신문은 군사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그러나 북한산 무기는 서방산에 비해 사거리가 형편없이 짧은 러시아제 재래식 무기보다 더 사거리가 짧다”면서 “전쟁 상황을 바꿔놓을 수 없는 소모품들에 지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러시아가 이를 알고도 북한산 무기에 잔뜩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 자체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셈이란 해석이다.

NYT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러시아에 가한 강도 높은 경제 및 무역제재가 지금 엄청난 효과를 내고 있다”면서 “중국 이란 북한 등 이른바 불량국가 이외에 러시아가 거래할 수 있는 나라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