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축구공만한 눈, 몸통만 4m… 대왕오징어 사체 보니


뉴질랜드 해변가 모래톱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연체동물인 거대한 대왕오징어 사체가 발견됐다.

라디오뉴질랜드(RNZ)는 대왕오징어 사체가 지난 9일 남섬 북단 페어웰스피트에서 파도에 떠밀려 모래톱으로 올라왔다고 13일 보도했다. 이는 인근 해변을 지나던 관광객들에게 발견됐다.

당시 대왕오징어를 목격한 여행 가이드 안톤 도널드슨은 “해변에 하얀색의 거대한 물체가 보여 처음에는 커다란 양모 뭉치로 생각했다”며 “가까이 다가가자 다리가 보여 대왕오징어임을 알게 됐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는 “수백m 깊은 바다에 사는 생명체를 실제로 보는 것은 평생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기회인 만큼 관광객들도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면서 “다리를 포함하지 않은 몸통 길이만 4m 정도 되는 것 같았다. 다리 끝은 끊어져 있었고, 작은 상어나 다른 물고기들에 의해 뜯어 먹힌 것처럼 보였다”고 설명했다.

페어웰스피트 지역은 바다에 길게 돌출한 모래톱이다. 이곳에는 지난 30년 동안 대왕오징어 6~7마리가 떠밀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캣 볼스태드 오클랜드테크놀로지대학(AUT) 박사는 대왕오징어가 해변으로 밀려 올라오는 이유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왕오징어 몸통 전체가 올라오는 경우는 저인망 그물에 걸린 것을 놓아주었을 때”라며 “일부분이 올라오는 경우는 향유고래가 잡아먹다 남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대왕오징어 맛을 좋아하는 동물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대왕오징어는 조직에 암모늄 농도가 높아 많은 동물에게 상당히 맛이 없게 느껴진다. 표백제 같은 맛이 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향유고래는 그런 맛을 정말 좋아하거나 맛을 느낄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볼스태드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대왕오징어의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아 죽은 지 얼마 안 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과학자들이 지난 100여년 동안 대왕오징어를 연구해왔지만 지금도 모르는 게 많다”며 “심지어 대왕오징어가 얼마나 오래 사는지, 무엇을 먹고사는지도 거의 알려진 게 없다”고 밝혔다.

대왕오징어는 전 세계 열대바다에 서식하며 수심 300∼1000m의 심해에 머문다. 몸길이만 2m, 다리까지 포함하면 12∼13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왕오징어 암컷은 길이 13m, 무게 300㎏, 수컷은 10m, 200㎏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