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비움’ 표시가 메신저에서 잠시라도 뜨면 30분 안에 이메일이 날라와 어깨 너머로 매니저가 지켜보고 있는 기분이 들어요”
BBC 방송은 영국 브리스틀에 사는 24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앨리슨의 재택근무 속사정을 2일(현지시간) 조명했다.
코로나 장기화에 재택을 포함한 원격 근무가 확산함과 동시에 지속해 이처럼 ‘매의 눈’으로 직원을 감시하려는 상사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미시적관리(micromanagement)’를 하려는 상사가 코로나 이전에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메신저와 화상 채팅 같은 수단이 많아져 오히려 온라인 감시를 부추기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BBC는 지적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2020년 7월 24개국 1200명을 조사해 원격 근무 직원 가운데 5분의 1은 상사에게 끊임없이 평가받는 기분을 느끼고 있다고 발표했다.
상사들도 원격 근무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관리직 중 38%는 직원이 집에서는 생산적이지 않다고 답했으며, 40%는 원격 근태 관리를 믿기 어렵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감시를 하게 되는 이유는 ‘신뢰 부족’에 있다고 진단한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리더십 전문가 ㅓ에리얼 사단은 “미시적 관리는 주로 매니저와 팀 간 신뢰 부족에 뿌리를 둔 사안”이라며 “원격 환경에서는 불신이 증폭된다”고 말했다.
BBC 방송은 이러한 관리자들을 자식 주변을 빙빙 맴돌며 극성스럽게 조종하려 드는 ‘헬리콥터 맘’에 빗대 ‘헬리콥터 상사’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직원 입장에서도 압박이 크다고 지적했다. 관리자가 직원을 격려하고 소통하려는 의도라고 해도 원격인 상황에서는 결과적으로 자율성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다. 근태 관리 업체인 워크잼 관계자는 “직원들이 과소평가 되고, 간과되는 기분을 느끼게 된다”며 “그들은 회사와 단절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벨기에 블레릭 경영대의 한 교수는 “헬리콥터 상사라고 해도 점차 직원과 신뢰를 쌓는 방법을 배우면서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