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싱크대 들고 트위터 본사 찾아간 머스크 “트위터 대장 등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소셜미디어(SNS) 트위터 본사에 싱크대를 들고 찾아가며 트위터 인수가 임박했다는 것을 퍼포먼스로 알렸다.

머스크는 26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 개인 계정 소개란에 있는 장소를 트위터로 변경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트위터 본사로 이사를 오는 듯한 영상을 올렸다. 머스크는 트위터 본사 1층 정문에 싱크대를 들고 들어왔다. 영상 설명에는 ‘트위터 본사 입장…트위터를 충분히 이해하자(let that sink in)’라고 썼다.

특히 자신의 소개를 ‘트위터 대장(Chief Twit)’으로 바꾸는 등 곧 트위터 인수 계약을 마무리하고 회사의 소유주가 될 것을 암시했다. 머스크가 바꾼 소개는 ‘트윗(Tweet)’대신 동음이의어인 ‘트윗(Twit·바보)’을 써 회사 인수를 우려하는 사람들에게 말장난으로써 희화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위터는 이날 직원들에게 머스크가 본사에서 예비 업무를 보게 될 것이라고 공지했다. 레슬러 벌랜드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사내 메모에서 ”머스크는 이번 주 샌프란시스코 사무실에서 사람들과 회의를 하는 등 중요한 업무에 몰두하게 될 것“이라고 썼다. 또 벌랜드는 “법원이 인수 마감 시한으로 설정한 오는 28일 머스크가 직원들을 상대로 직접 연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트위터 본사에 입성하고 직원들을 만나며 투자자들에게 약속했던 인력 감축 등 행보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미국 기업 전문 싱크탱크 ‘펑크&핀스트라이프(Punks&Pinstripes)’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트위터 직원 530명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머스크가 트위터 투자자들에게 제출한 서류에서 트위터를 인수하고 전체 트위터 직원 7500명 가운데 5500명의 인력을 감원할 계획을 세웠다고 전했다. 지난 3개월간 해고된 이들 중 30%는 구글과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 등으로 옮겼으며, 일부는 스냅과 틱톡 등 SNS업체로 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머스크와 트위터 측 변호사들은 인수자금 대출 은행들과 함께 계약을 마무리하는 직업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뉴욕 시간 기준 28일 오후 5시 트위터는 머스크의 휘하 아래 놓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트위터 인수 자금 440억달러(약 62조1000억원) 중 130억달러(약 18조3000억원)를 머스크에 빌려주기로 한 은행들이 현금 송금 절차에 착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