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6500·10만·0… ‘수치스런 경기장’ 카타르가 감춘 숫자들


세계인의 축제장일까, 이주노동자의 무덤일까.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이 다가오는 가운데, 개최국 카타르를 향한 인권문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영국 가디언은 15일(한국시간) “잔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은 우리가 축구에만 집중하길 원한다. 하지만 월드컵은 (경제적) 손익계산서나 명예로운 토너먼트 명부뿐만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의 삶의 현실에서도 측정돼야 한다”고 밝히며 ‘수치스러운 경기장: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가 숨기고 싶은 숫자’를 열거했다.

이주노동자의 인권 부문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앞서 2010년~2021년 인도·파키스탄·네팔·방글라데시·스리랑카 이주노동자 약 ‘650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한 가디언은 2019년 심장병학회지 연구결과를 빌려 더위로 인해 카타르에서 사망한 네팔의 노동자가 약 ‘200명’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카타르와 FIFA가 월드컵 준비 기간에 사망한 노동자의 공식 숫자는 단 ‘3명’에 불과하다”며 “월드컵 관련 사업으로 인해 사망한 이주노동자의 정확한 수는 ‘???’다. 진짜 숫자는 절대 알려지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2010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가 확정됐을 때 FIFA가 카타르 당국에 요청한 노동인권 관련 조항이나 조건도 ‘0건’”이라고 꼬집었다.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지난 12년간 카타르의 느슨한 노동법 등으로 착취·학대당한 이주노동자는 최고 ‘10만 명’이고, 특히 가사 및 경비 노동자들 다수가 하루 ‘14~18시간’ 동안 노동했다. 인권 및 노동권 조사기관 에퀴뎀은 최근 월드컵 결승전이 치러질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일한 케냐의 한 노동자가 2년 넘게 추가수당 없이 14시간 동안 노동을 했다고 폭로했다.

국제인권단체들은 카타르에서 죽거나 다친 이주노동자들을 위해 FIFA가 ‘4억4000만 달러’(약 5765억원)를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카타르 월드컵 총상금과 같다.

여성 차별도 꼬집었다. 카타르에서는 혼외 성관계를 가진 남녀는 형법 281조에 따라 징역 ‘7년’까지 선고된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이 법이 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HRW는 “카타르 경찰은 성폭력 신고를 한 여성들을 종종 믿지 않고, 여성이 남성 범죄자를 알고 있었다는 증거나 암시만으로도 여성들을 기소해왔다”고 비판했다. 또한 카타르 형법 제296조는 남성을 유혹해 불법 및 부도덕한 행위를 저지르게 한다는 명목으로 여성에게 징역형 ‘5년’을 선고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국경없는기자회에 따르면 카타르의 언론자유는 180개국 중 ‘119위’다. 중동 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순위이지만 여전히 월드컵 기간 기자들은 감시를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또 이번 월드컵에는 약 2000억 달러(약 261조9940억원)가 쓰였다. 이는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약 110억 달러보다 20배 가까운 수치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