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0월 초 대규모 폭발 사건이 발생했던 크림대교 복구 현장을 5일(현지시간) 직접 방문했다.
크렘린궁은 “우크라이나가 계속해서 크림대교 공격에 대해 위협하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이 크림반도로 이어지는 육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푸틴 대통령이 크림반도와 러시아 사이의 안전한 육로 운송 연결을 보장할 것을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AFP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래 가장 전선에 가깝게 방문한 사례라고 전했다.
크림대교는 러시아가 2014년 강제 합병한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육로로 직접 연결하는 도로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핵심 보급로 역할을 한다. 또 2018년 5월 18일 개통식에서 푸틴 대통령이 직접 트럭을 몰고 다리를 건널 정도로 큰 의미가 지닌 교량이다. 이 때문에 ‘푸틴의 자존심’이라는 별명도 크림대교에 붙게 됐다.
상직적 의미를 지닌 크림대교는 푸틴 대통령의 70세 생일 이튿날 인 10월 8일 폭발로 차량용 교량 일부가 무너져 내렸고 열차 교량 일부가 크게 손상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의한 테러로 보고 이릍 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비롯해 전여게 84발의 미사일을 퍼부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 영토에서 이런 일이 계속된다면 러시아의 대응은 가혹할 것”이라며 보복성 폭격임을 시인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