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북한군 수류탄에 오른쪽 팔과 다리를 잃고도 후송을 거부했던 윌리엄 빌 웨버 예비역 육군 대령이 9일(현지시각) 미국 메릴랜드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97세.
미 육군 공수부대 장교로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던 웨버 대령은 1951년 강원도 원주에서 북한군 수류탄에 오른쪽 팔꿈치 아래와 오른쪽 무릎 아래를 잃고도 고지 점령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중대를 지휘했다.
고인은 생전에 “한국인들이 자유를 누리는 데 작은 도움이 됐다면 그것 만으로도 자긍심을 느낀다”며 “다시 과거로 돌아가더라도 기꺼이 참전할 것”이라며 6·25 전쟁의 의미를 알리는데 헌신했다.
93년부터 한국전참전용사기념재단(KWVMF) 회장을 맡았으며, 95년 워싱턴에 세워진 한국전 참전 기념비 완공에 큰 기여를 했다. 2014년에는 6·25 전쟁의 의미를 알리는 데 헌신한 공을 인정 받아 국방부로부터 제2회 백선엽 한·미동맹상을 받았다.
고인은 한국전 전사자의 이름이 새겨질 ‘추모의 벽’ 건립에도 앞장섰다. ‘왼손 경례’로 유명한 고인은 지난해 5월 문재인 대통령 미국 방문 당시 추모의 벽 착공식에 함께 자리하기도 했다. 그는 워싱턴 한국전 참전기념공원 내 ‘19인 용사상’ 모델 중 1명이기도 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1일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한·미동맹은 자유를 위해 싸웠던 영웅들의 역사이기도 하다. 그들의 애국심과 인류애를 꼭 기억하겠다”고 애도했다. 이어 “웨버 대령의 영웅적 면모는 팔다리를 잃고도 고지 점령의 임무를 완수하고 현역에 복귀한 것에 그치지 않았다”며 “1980년 전역 후 한국전 참전용사기념재단 회장을 맡아 한국 전쟁이 갖는 의미를 알리는데 평생을 헌신했다”고 추모했다.
국가보훈처도 웨버 대령의 유가족에게 황기철 처장 명의의 조전과 추모패를 보냈다. 황 처장은 조전에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평생을 헌신하신 웨버 대령을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미국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고 혈맹으로 맺어진 한·미동맹이 미래세대에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