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사망 7800명 넘어… 폭설에 발 ‘동동’


튀르키예 남부와 시리아 북부 국경에서 6일(현지시간) 발생한 강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800명을 넘어섰다. 이어지는 여진, 폭설·강추위 등 악천후 속에 생존자 구조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7일 로이터통신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 지역을 뒤흔든 규모 7.8과 7.5의 강진으로 튀르키예에서는 5894명이 사망하고 3만4000명 이상 다친 것으로 현재까지 집계됐다. 시리아에서는 최소 1932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구조와 시신 수습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집계된 것이다. 향후 사상자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튀르키예 당국에 따르면 서쪽으로는 아다나에서 동쪽으로는 디야바크르까지 약 450㎞, 북쪽으로는 말타야에서 남쪽으로는 하타이까지 약 300㎞에 걸쳐 약 135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파괴된 건물은 거의 6000채에 이르렀다.

시리아 당국은 진앙으로부터 약 250㎞ 떨어진 하마에서도 사망자들이 나왔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악의 경우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만명을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1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니세프(UNICEF)는 수천명의 어린이가 사망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지진 피해가 큰 10개 주에 3개월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튀르키예 정부는 지진 피해 지역에 구조대원 1만2000명과 군과 경찰 병력 9000명을 투입했다. 또한 70개국 이상이 구조 인력과 구호 물품 등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생존자를 수색, 구조하기 위한 작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진으로 도로가 파괴됐고, 폭설이 오는 등 악천후까지 겹쳤다. 이 때문에 구조와 구호 작업이 늦어져 ‘골든타임’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지금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며 “매분, 매시간이 지나면 살아 있는 생존자를 찾을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캐서린 스몰우드 WHO 유럽지부 선임비상계획관은 “다음 주에 사망·부상자 수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며 사망자가 초기 통계보다 8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