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남북한식 분단 수용 못 해”… 우크라이나도 거부


우크라이나가 자국을 남북한식으로 분할하는 종전 방안에 대해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재차 밝혔다.

뉴스위크는 7일(현지시각) 올렉시 다닐로우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NSC) 서기가 트위터에 “우크라이나는 한국이 아니다”라며 “38선이나 다른 분계선, 외부에서 주장하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와 시나리오는 없을 것”이라고 적었다고 전했다.

다닐로우 서기의 발언은 앞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한반도 시나리오’(Korean scenario)를 언급한 직후 나왔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우크라이나가 서방 동맹국이 제안한 한국식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크라이나의 희망 사항일 뿐”이라고 텔레그램에 적었다.

그가 언급한 ‘한반도 시나리오’는 우크라이나가 한국과 같은 민주주의 국가로 남고, 돈바스 지역을 비롯한 러시아 점령지는 러시아의 영토로 분할되는 것을 뜻한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러시아는) 완전한 주권을 가진 국가이고, 가장 강력한 무기를 갖고 있다”며 이 같은 시나리오는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다닐로우 서기가 이 주장에 곧바로 반박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모두 남북한식 분할 시나리오에 대한 거부 의사를 드러낸 셈이다.

‘한반도 시나리오’는 전쟁 시작 초기부터 종전 시나리오 중 하나로 지속해서 언급돼왔으나, 우크라이나는 줄곧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지난해 3월 키릴로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군사정보국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둘로 쪼개려 한다”며 “우크라이나에 북한과 남한을 만들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뒤이어 올렉시 레스니코우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도 지난해 8월 한 인터뷰에서 “한국식 경로는 우리에게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다닐로우 서기도 지난달 “현재 한국인들은 (장기적 분단이라는) 문제를 갖고 있다”며 한국식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없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전했다.

다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을 지낸 올렉시 아레스토비치는 전날 이 방안을 거론하며 “우크라이나가 적잖은 이익을 얻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상황을 반전시키고 (러시아군) 점령지를 수복하면서 승리하기 위해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무기로 무장한 약 40만명의 잘 훈련된 군인이 필요하지만, 우리한테 그것이 없고 가까운 시일에 그것이 마련될 수도 없다. 훈련 역량도 충분치 않다”고 자국군의 전력을 냉정하게 평가했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