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커런 프라이스 LA 9지구 시의원 정직안 표결이 오는 23일 이뤄지는 가운데 프라이스 의원이 안건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프라이스 의원이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고 최종 판결이 나오기 전에 의원직을 박탈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LA 시의회와 맞서고 있습니다.
전예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커런 프라이스 LA 9지구 시의원이 횡령과 위증 등 10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이에 대해 LA시의회는 오는 23일 프라이스 의원 정직 여부를 표결에 부칠 예정입니다.
표결을 이틀 앞둔 오늘(21일) 프라이스 의원은 결백을 주장하고 정직안을 철회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프라이스 의원은 한평생을 명예롭게 살아왔고 유권자의 이익을 위한 일 외에는 어떤 것도 해오지 않았다며 잘못된 혐의와 부당한 비난에 대해 재판에서 설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최종 판결이 나오기 전에 정직 처분을 내리는 것은 부당하다며 “다른 의원들도 이에 대해 인정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프라이스 의원은 자신의 정치 파워를 이용해 부인 회사에 이익을 주는 회사들을 위한 투표를 하고 15만여 달러를 챙기는 등 대가성 혜택(conflict of interest) 제공 2건, 위증 3건, 횡령 5건 등 10개의 혐의로 지난 13일 기소됐습니다.
기소된 다음날(14일) 프라이스 의원은 시의원직을 제외한 모든 직위에서 사임했지만 LA시의회는 시의원직에 대한 정직여부도 표결에 부치기로 결정했습니다.
LA시정부의 부패 스캔들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20년 이후에만 뇌물수수 등 부정부패 혐의로 호세 후이자와 마크 리들리 토마스 전 시의원이 기소돼 정직 처분을 받은 바 있습니다.
후이자 전 의원은 무죄를 주장하다 이후 유죄를 인정했지만 마크 리들리 전 의원은 결백을 주장하고 월급 미지급이 무죄추정의 원칙에 위배된다며 소송까지 제기했다 배심원단에 의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에 더해 누리 마르티네즈 전 시의원을 포함한 3명의 인종 차별적 발언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되는 등 끊임없는 부정부패에 지친 LA시의회가 강수를 둔 겁니다.
마크 리들리 전 의원의 사례를 봤을 때 정직 처분이 내려지면 LA시 감사관은 프라이스 의원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직무를 이행하지 않는 의원에게 월급을 지급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라이스 의원이 버티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줄줄이 밝혀지는 부정부패로 시의회가 신뢰를 잃고 있는 가운데 프라이스 의원과 LA시의회가 정직 여부를 놓고 맞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전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