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러시아, 전쟁 9개월만에 처음으로 경기침체 진입 진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지 9개월 만에 공식적인 경기침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를 향한 서방의 경제 제재가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연방통계청은 16일(현지시간) 올해 3분기 러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이 작년 동기 대비 4% 줄었다고 발표했다. 도매업과 소매업이 각각 22.6%, 9.1% 수축해 GDP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는 올해 2분기에도 지난해보다 4.1%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GDP가 2개 분기 연속으로 줄어들면 해당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간 것으로 판정한다.

러시아 경제는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속해서 타격을 받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서방의 러시아 제재로 핵심부품과 기술 수입이 차단돼 제조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는 젊은 남성들을 대거 징집해 우크라이나전에 병사로 보낸 까닭에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다.

러시아 경제지 코메르산트에 따르면 러시아 기업 옴부즈맨 보리스 티토프는 “최근 몇 달간 러시아 기업 5800곳 중 3분의 1이 매출 감소를 겪고 있다”며 “지난 9월 시행된 예비군 30만명 동원령으로 피해를 본 기업도 전체의 3분의 1”이라고 전했다.

러시아 로코인베스트 투자책임자 드미트리 폴레보이는 “놀랄 일도 아니다”며 “사태는 계속해서 악화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쟁 초기 대다수 전문가가 서방의 강력한 경제 제재 등으로 러시아 경제가 급격한 추락을 겪을 거라고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현재까지는 충격을 비교적 잘 버텨내는 모습이다.

이달 8일 러시아 중앙은행은 올해 GDP가 작년 대비 3.5% 감소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도 3.4%∼4.5% 수준의 침체를 예상하고 있다.

선방의 원인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석유·천연가스 가격 급등이 지목된다. 에너지 수출이 러시아 연방정부 전체 수입의 4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방이 다음 달부터 러시아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추가적인 경제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러시아 내 전문가들도 자국 경제 상황이 앞으로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관측이다. 폴레보이는 “올해 4분기에는 GDP가 급격히 줄어들어 감소 폭이 7%에 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