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英 가디언 “200년전 설립자가 노예제 연루”…노예 후손들에게 160억원 배상


영국 일간 가디언이 19세기 설립자들이 노예제에 연루된 것에 대해 사과하고, 향후 10년간 1000만 파운드(약 160억원) 규모의 회복적 정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가디언을 소유한 스콧 트러스트 재단은 28일(현지시간) ‘노예 유산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스콧 트러스트 재단은 ‘흑인 목숨도 중요하다(BLM)’ 운동을 계기로 2020년 7월 노팅엄대 등에 가디언 설립자와 노예제 관계에 관해 조사를 의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821년 가디언을 창간한 면화 거래상 존 에드워드 테일러와 자금을 지원한 맨체스터 지역의 상인 11명 중 최소 9명이 노예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테일러는 자신의 회사인 ‘셔틀워스, 테일러&코’를 통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조지아주의 노예 농장에서 면화를 가져온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송장에는 농장주와 노예들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특히 가디언 창간 당시 초기 자금을 지원한 조지 필립스 자메이카 설탕 농장에서 직접 노예를 소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콧 트러스트 재단은 “가디언과 설립자들이 반인도적 범죄에 가담한 부분에 대해 연구를 통해 확인된 피해 공동체와 노예의 생존 후손들에게 사과한다”고 밝혔다.

재단은 아울러 조사 결과를 토대로 10년간 1000만 파운드 이상을 들여 노예 후손 등에게 배상하는 복원적 정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영국·미국, 카리브해, 아프리카의 흑인 공동체에 관한 보도를 확대하고 흑인 독자를 겨냥한 편집 포맷을 만들기로 했다. 또 흑인 언론인을 위한 글로벌 펠로십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고 흑인 언론인 지망생을 위한 교육 장학금을 확대할 계획이다. 가디언은 과거 대서양 횡단 노예제의 역사와 영향을 탐구하는 기획 시리즈물 ‘면화 자본’의 연재도 시작했다.

캐서린 바이너 가디언 편집장은 “이런 끔찍한 역사는 인종 차별, 불의, 불평등을 폭로하고 권력자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저널리즘을 사용하겠다는 우리의 결의를 더욱 굳건히 하게 한다”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