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 증설이 잇따르면서 CA주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이 심각한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가뜩이나 가뭄이 심한 서부지역에서 데이터센터들의 냉각수 수요 폭증으로 물부족 현상이 더욱 악화되면서 주민들의 생존을 위협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공지능(AI) 열풍의 부작용으로 CA주의 물부족이 심화되면서 냉각수 수요 급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어제(25일)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구글은 전날 발표한 '2023 환경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회사의 물 사용량이 56억 갤런으로 전년대비 20%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서부 지역의 골프장 37개가 연간으로 사용하는 물과 맞먹는 규모입니다.
시람으로 치면 100만명이 한달동안 2리터씩 사용할 수 있는 양입니다.
물 사용량 급증의 주요 원인은 데이터센터의 냉각수 수요 폭증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냉각수로 사용된 물의 양만 52억갤런으로 전체 물 사용량의 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I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냉각수가 필요합니다.
데이터센터 서버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계속 물로 식혀주지 않으면
서버가 과열돼 고장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데이터센터의 경우 하루에 100만~500만 갤런의 물을 소비합니다.
문제는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앞으로 더욱 급증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글로벌 부동산 자문회사 CBRE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주요 시장에서 구축하려는 데이터센터 개발 계획 규모는 7천242메가와트로 2020년 말 대비 158% 증가했습니다.
팬데믹 시기를 겪으며 온라인 쇼핑과,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대 등이 데이터센터 사용을 부추겼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올해 AI 붐이 일면서 데이터센터 수요는 더욱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새로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 그만큼 냉각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구글의 지난해 데이터센터 물 사용량 증가 규모가 AI로 인해 구글의 컴퓨팅 용량이 증가한 것과 거의 일치하는 수준이라는 분석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구글뿐 아니라 여러 빅테크 기업이 엄청난 양의 물을 확보해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빅테크 기업이 집중된 서부지역에 데이터센터가 구축돼 있는데 이 지역이 기존에도 가뭄으로 큰 어려움을 겪어왔기 때문에 물 부족 문제가 더욱 악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 국제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국에만 데이터센터가 2천600개(전 세계의 33%) 있고 그 중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147개, LA 139개 등 CA주에만 300개 가까운 데이터센터가 있습니다.
CA주 옆 애리조나에도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타, 메타 등의 데이터센터가 있습니다.
이에 빅테크 기업들은 물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속속히 내놓고 있습니다.
구글은 환경 보고서를 통해 지역에서 물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것을 이해하고 있으며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단 현재 수준은 지난해 기준 6%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물 부족 사태가 심각해질수록,빅테크 기업와 지역 사회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