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경제 피해 규모가 매년 1천500억 달러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 내 13개 연방정부 산하 기구로 구성된 미 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USGCRP)이 발표한 기후평가보고서(NCA)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불러온 자연재해로 연방 정부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
기후변화 피해 복구에 드는 비용은 매년 늘어나는 반면, 기후변화가 미국의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세수가 감소하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중서부의 농업과 동부 해안의 어업뿐 아니라 스키 리조트와 같은 관광업까지 미 전역의 경제활동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해안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의 40% 중 상당수가 해수면 상승의 위험에 노출됐다고 평가했다.
해수면 상승 탓에 21세기 말까지 미국의 수백만 가구가 거주지를 떠나야 할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됐다.
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은 "현재 미 전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감지되지만 앞으로의 충격은 더욱 거세지고,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탄소배출 절감을 위한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지 않을 경우 기후변화가 가속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아울러 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은 탄소 절감을 위한 미국의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하자는 파리협약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지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평균 6%씩 탄소배출을 줄여야 했지만, 실제로는 매년 1%에도 못 미쳤다는 것이다.
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은 기후변화가 자연과 경제, 국가 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평가하는 보고서를 4년마다 작성해 대통령과 의회에 제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