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시가 전기차(EV) 충전 인프라 확대에 박차를 가하면서, 시민들이 전기차를 더욱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연방 정부의 보조금 축소 가능성과 지역 간 불균형이 여전한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LA 시 건축안전국에 따르면, 지난해(2024년) 1년 동안 시 전역에서 발급된 EV 충전기 설치 허가는 총 3,689건이었다.
불과 5년 전인 2020년의 985건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허가가 3배 이상 늘었기 때문에 충전기 숫자는 훨씬 더 많아졌다는 의미다.
지난 10년간 누적 설치 허가는 17,000 건을 넘었다.
EV 충전 인프라 확대는 오랜 전기차 전환의 걸림돌이었던 ‘주행거리 불안(Range Anxiety)’을 점차 해소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연방 정부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축소될 경우 전기차로의 전환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된다는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최대 7,500달러에 이르는 EV 세금 공제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내용이 포함된 예산안을 추진 중이며, 연방상원에서는 이번 주 해당 법안을 통과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개빈 뉴섬 주지사는 연방 세금 공제가 철회된다면 캘리포니아 주가 자체적인 리베이트 제도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LA 시는 주거용 Level 2 충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최대 1,000달러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보조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24-25 회계연도 기준(6월 1일 기준), 주거용 2,139건과 상업용 4,762건 등 총 6,901건의 충전기 리베이트가 지급됐다.
이 전기 충전기 설치를 지원하는 리베이트 프로그램은 캘리포니아 주의 저탄소 연료 표준(Low Carbon Fuel Standard)과 연방 온실가스 감축기금(GGRF)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전기 충전기 설치는 도시 위주로 진행되다보니 소득 불균형에 따라서 지역적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LA에서 가장 많이 전기 충전소가 설치된 지역은 405건의 허가를 받은 Sherman Oaks 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 밖에 Woodland Hills, West Hills, Encino 등 LA에서도 고소득 지역에 충전기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전기 충전기 설치 거의 없는 지역은 와츠(Watts)를 비롯해 Historic South Central, Harvard Heights, Green Meadows 등으로
이 들 지역은 South LA 등 저소득 주민들로 주로 구성됐는데 모두 10건 미만의 대단히 낮은 충전기 증가세를 보였다.
UCLA 혁신센터의 레이첼 코놀리 연구원은 저소득층 커뮤니티가 여전히 주 정부의 리베이트 혜택에서 크게 소외돼 있다며 EV 전환의 형평성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캘리포니아 주는 전체적으로 여전히 전치가(EV) 전환을 선도하고 있지만 그 성장은 최근 들어서 상당히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EC)에 따르면, 주 전체의 EV 판매량은 2020년 117,000여 대에서 2024년 443,000여 대로 급증했다.
그렇지만 연도별로 살펴보면 2년 전인 2023년부터 EV 판매량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는데, 보조금 축소와 경제적 부담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캘리포니아 주는 미국 내에서 가장 높은 EV 보급률을 유지하며, 전기차 전환의 선두 주자로서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