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트럼프, 의약품 관세 처음엔 낮지만 1년뒤 150% .. 이후 250%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예고해온 대로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5일) CNBC 인터뷰에서 다음주 정도(next week or so)에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예정이라면서 대상 품목으로 반도체와 의약품을 언급했다.

그는 특히 의약품에 대해 처음에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최대 1년반 뒤에는 150%로 올리고, 이후에는 250%로 올릴 것 이라고 말했다.

이는 제약사들이 미국 밖에 있는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옮기는 데 필요한 시간을 1년에서 1년 반 정도를 주고 그 이후에 관세를 대폭 올리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무역 합의 결과를 자랑하면서 한국은 자기 나라를 개방했는데 시장을 개방했을 뿐만 아니라 그건 엄청난 사업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폐쇄된 국가였는데 이제 갑자기 우리는 한국에 자동차, 트럭, SUV를 팔 수 있게 됐다며 우리는 정말로 한국을 개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미국과 무역 합의 전에도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했지만, 미국은 한국의 자동차 안전, 환경 기준을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이 관세를 낮추기 위해 약속한 대미 투자가 미국이 갚아야 하는 대출이 아니라 미국에 주는 돈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진행자가 유럽연합EU를 예로 들어 약속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냐는 질문에 그렇게 되면 그들은 35%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건 선물이고 대출처럼 갚아야 하는 게 아무것도 없다며 그들은 우리가 원하는 아무것에나 투자할 수 있는 6천억달러를 줬다고 주장했다.

그는 무역 합의의 세부 내용이 없다는 지적에 내가 원하는 아무것에나 6천억달러를 투자한다는 게 세부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태도를 고려하면 그는 한국이 투자를 약속한 3천500억달러에 대해서도 한국 정부가 설명한 대출이나 대출 보증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향후 이견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