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노동부는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고 오늘(10일) 밝혔다.
이는 전월 대비 0.3%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을 크게 밑돈다. 전월 대비 하락을 기록한 것은 지난 4월 이후 처음이다.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2% 하락한 것이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도매업자와 소매업자가 받는 마진 변화를 측정하는 거래(Trade) 서비스가 1.7% 하락한 게 큰 요인이었다. 또한 기계 및 차량 거래 서비스의 도매 마진이 3.9% 감소한 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무역·운송·창고업을 제외한 최종수요 서비스 지수와 운송·창고업 최종수요 서비스 지수는 각각 0.3%와 0.9% 상승했다.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은 전월 대비 0.1% 상승하면서 서비스 분야의 가격 하락 효과를 일정 부분 상쇄했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이 0.3% 상승했으며, 식품은 0.1% 올랐고, 에너지는 0.4% 내렸다.
담배 제품(2.3%)을 비롯해 소고기, 닭고기, 인쇄회로 조립품·보드·모듈과 전력 가격은 상승했다.
유틸리티용 천연가스 가격(-1.8%)을 비롯해 신선·건조 채소, 계란 가격은 하락했다.
한편,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2.6%로 역시 전문가 전망치(3.3%)를 하회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올라 전망치(0.3%)와 부합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8% 상승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 지표로 받아들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