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홍콩, 반정부 단체 더 옥죈다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을 책임지는 보안장관에 유임된 크리스 탕이 28일 “국가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개인과 단체의 수입과 지출, 외국 세력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홍콩 주권 반환 25주년 기념일인 다음 달 1일 새 정부가 출범하면 이미 싹이 마르다시피 한 민주 진영에 대한 압박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탕 장관은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 인터뷰에서 “(2020년 6월)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국가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조직이 줄줄이 해산됐다”며 “그러나 그들은 쉽게 포기하지 않고 기회를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가 적용되는 홍콩의 특성상 외부 세력으로부터의 분열·전복 가능성이 여전히 크다”며 “반정부 단체의 수입과 지출, 외국 세력과의 관계 등을 심도 있게 조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온라인상 정보 수집과 대테러 서비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탕 장관은 특히 “홍콩 청소년들의 안보 의식을 높여야 한다”며 “학교 교육은 법치를 따르고 국가 정체성을 인정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국무원은 최근 존 리 홍콩 신임 행정장관이 제청한 핵심 관료 명단을 최종 승인했다. 2019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강경 진압한 공로로 승승장구한 리 장관이 이끄는 새로운 내각은 주권 반환 25주년 기념일인 다음 달 1일 정식 출범한다.

홍콩의 중국화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탕 장관에 따르면 보안법 시행 이후 국가안보를 해친 행위로 경찰에 체포된 사람은 189명이고 이 중 122명이 기소됐다. 그는 보안법 시행으로 홍콩이 혼란에서 안정을 되찾았다며 그 근거로 올해 1분기 형사사건이 지난해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는 점을 들었다.

홍콩에선 지난해 ‘애국자가 통치하는 홍콩’ 원칙에 따라 선거제도가 개편돼 민주 진영의 공직 진출이 차단됐다. 올해 주권 반환 기념식과 정부 출범식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그 여세를 몰아 전면적 통치권을 못 박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이 홍콩을 방문하면 2020년 1월 코로나19 발병 이후 처음 중국 본토를 벗어나는 것이자 2019년 대규모 반정부 시위 이후 처음 홍콩을 찾는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25일 시 주석이 두 행사에 참석할 것이라고 보도했는데, 방문 날짜와 구체적인 일정을 공개하지 않아 화상 참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