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전 세계가 금리 인상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중국만 다른 기조를 보이고 있다. 지급준비율 추가 인하와 대손충당금까지 완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럴 경우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은 이르면 15일 지준율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중국 국무원은 13일 리커창 총리 주재 회의에서 “당면한 환경 변화에서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등 통화정책 도구를 쓰겠다”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대출 비용을 낮춰 실물경제, 특히 코로나19로 심각한 영향을 받은 중소기업,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 강도를 한층 높이겠다”고 밝혔다. 작년 7월과 12월에 있었던 두 번의 지준율 인하 조치 또한 중국 국무원의 지준율 인하 시사 후 며칠 안에 이뤄졌다.
지준율은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하는 현금 비율이다. 지준율을 낮추면 시중은행은 추가 대출 여력이 생기기 때문에 시장에 돈을 푸는 효과가 난다. 통화 긴축을 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과는 반대의 흐름이다. 보통 지준율을 0.5% 인하하면 시중 은행에는 1조2000억 위안(231조원)의 추가 대출 여력이 생긴다.
국무원은 또 “대손충당금 적립 수준이 높은 대형 은행에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을 질서 있게 인하하는 것을 장려한다”고 덧붙였다. 대손충당금 완화를 시사한 것이다. 대손충당금은 은행이 고객의 채무불이행에 대비해 보유하는 돈이다. 이를 완화할 경우 지준율 인하처럼 은행들이 기업에 추가 대출을 해 줄 수 있는 여력을 준다.
중국이 글로벌 금융시장과 반대로 가는 이유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중국 내 실물경제가 타격을 입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경제수도 상하이가 봉쇄됐고, 작년 하반기부터 부동산시장은 심각하게 위축된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대외 불확실성 또한 커졌다. 당장 조만간 발표될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부터 5%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가중되는 위기 앞에서 중국이 이번에 지준율 인하에 그치지 않고 금리 인하를 거의 동시에 단행할 것으로 관측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경제학자들은 중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는 미국 등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 자산의 매력이 떨어지고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