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 대한 전면전에 돌입했다. ‘동부 집중 전략’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동남부에 전방위 타격을 가하며 초기 북부에서의 침공 실패를 설욕하겠다는 태세다. 돈바스 전투가 이번 승부의 분수령이 될 수 있는 만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대규모 군사 충돌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러시아가 돈바스 전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영상 연설을 통해 “얼마나 많은 러시아군이 그곳에 몰아닥치더라도 우리는 싸울 것”이라고 결사항전 의지를 밝혔다.
돈바스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분리·독립세력이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이후 자체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교전이 지속됐던 지역이다.
러시아군은 돈바스 전면전을 위해 5만명 이상의 병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방부 관계자는 가디언에 “돈바스 전선에 투입된 러시아군 대대전술단(BTG) 규모가 65개에서 76개로 늘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를 점령하기 위해 돈바스, 이지움뿐 아니라 남부 자포리까지 공격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돈바스부터 남부 크림반도를 잇는 요충지인 마리우폴 함락에 사활을 걸고 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주민들이 대피한 마리우폴의 제철공장 벙커 내부를 직격하는 ‘벙커 버스터’ 폭탄도 투하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는 개전 초기 북부 패배의 교훈을 동남부 작전에 적용하고 있다. 미 고위 당국자는 CNN을 통해 “러시아군이 적절한 지속 생존 능력을 갖추지 않았던 북부에서의 패배에서 얻은 교훈을 새 작전지역(동남부)에 적용하려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지휘명령 체계 개선과 함께 부대 간 유기적 결합력을 높여 초기 침공 실패를 보완해 돈바스 전투를 치르겠다는 뜻이다.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전면전을 시작하자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방어용 무기에 이어 공격용 무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에서 출발한 4편의 비행기가 전날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며 “곧 5번째 비행기도 도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지원한 무기에는 헬리콥터, 곡사포, 장갑차와 함께 8억 달러 규모의 장비가 포함됐다.
미국이 러시아를 테러지원국으로 규정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CNN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사용할 수 있는 법적 도구가 있다면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러지원국에 지정되면 미국의 수출관리 법규에 따라 무기 수출 금지, 일반 특혜 관세제도 적용 금지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을 계기로 유럽연합(EU) 가입 절차도 밟고 있다. EU 가입 절차를 공식화해 러시아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이후 우크라이나는 EU 가입을 지속해 추진해왔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