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도마위에 오른 '반유대주의' 논란.. 대선서 새로운 변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으로 국내에서 반유대주의 문제가 첨예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내년 미 대선에서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특히 공화당이 그간 대학 등 교육기관들을 겨냥해 '문화 전쟁'(cultural war)을 벌여온 가운데 미 명문대 총장을 반유대주의로 몰아붙여 물러나게 하는 '성과'를 거둬 이 문제가 앞으로 계속 증폭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어제(12일) 주류언론에 따르면 하버드대, 매사추세츠공과대(MIT), 펜실베이니아대(유펜) 총장들이 지난 5일 미 하원 반유대주의 관련 청문회에서 한 발언과 관련된 논란이 지속하고 있다.

세 총장은 청문회에서 일부 학생들의 반유대주의 발언이 대학의 윤리 규범 위반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피하고 말을 돌렸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후 이들의 사퇴를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게 일어난 끝에 엘리자베스 매길 유펜 총장이 물러났다.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과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은 소속 대학 이사회의 지지를 받아 유임이 결정됐지만, 평판에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았다.

이로써 총장들의 거취 논란은 일단 마무리됐으나, 이번 일로 대학 안팎과 정치권에서 격렬한 반응이 터져나온 점을 고려하면 파장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버지니아 폭스 하원 교육위원장(공화)은 청문회 이후 총장들의 증언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난하고 이들 3개 대학의 반유대주의에 대해 공식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연방 교육부도 하버드대와 유펜, 코넬대, 컬럼비아대 등의 유대인과 무슬림을 향한 혐오 사건과 관련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무엇보다도 공화당이 이번 논란으로 유펜 총장을 낙마시키는 데 성공함에 따라 앞으로 교육 현장의 문화 전쟁에 더욱 열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