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발표를 앞둔 미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집세 상승 등으로 인해 CPI도 고공행진을 계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잡히지 않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달 다시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오늘(12일) CNBC에 따르면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이코노미스트들의 미 9월 CPI 상승률 전망치작년 동기 대비는 8.1%다.
지난 8월 미 CPI 상승률(8.3%)보다는 소폭 낮은 것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8월의 0.1%보다는 근소하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는 6.5% 각각 올랐을 것으로 전망됐다.
CNBC는 임금 상승과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서비스 물가가 올랐고 집세 등 주거비도 상승함에 따라 9월 CPI 상승률이 8%대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집세는 전월 대비 0.7% 올랐을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추산했다.
교육비, 의료비, 항공료, 자동차 보험료도 올랐을 것으로 예상됐다.
단 중고차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서 연준이 금리 인상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특히 지난 세 차례와 마찬가지로 다음달에도 0.75%포인트 인상을 하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연준이 12일 공개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많은 회의 참석자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너무 적게 행동하는 대가가 너무 많이 행동하는 대가보다 더 크다고 평가했다.
몇몇 참석자는 필요한 만큼 오랫동안 긴축적인 정책 스탠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으며, 두어 명은 역사적 경험에 비춰볼 때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긴축적 통화정책 기간을 조기에 종료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도 오늘(12일) 연설에서 지속가능한 기반 위에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 달성이라는 목표를 충족하려면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연 2%)으로 낮추는 게 필요조건이라며 금리 인상 기조의 조기 전환 가능성을 일축했다.